2020년 네이버가 실시간 검색어 서비스를 종료하면서 많은 사람들이 ‘지금 가장 이슈가 되는 키워드’를 어디서 확인할 수 있는지 혼란을 겪었습니다. 특히 블로그, 뉴스, 마케팅 분야에서 트렌드 파악이 중요한 사용자들에게 대체 수단의 필요성이 커졌습니다. 이 글에서는 실검을 대체할 수 있는 주요 플랫폼 3곳을 중심으로, 어떻게 트렌드를 파악하고 실시간 키워드를 활용할 수 있는지 알아보겠습니다.
네이버 데이터랩: 실검의 대안 1순위
네이버 데이터랩은 네이버 검색어 기반 데이터를 제공하는 공식 플랫폼으로, 실시간 검색어가 사라진 이후 가장 대중적으로 활용되고 있습니다. 특히 ‘검색어 트렌드’ 섹션은 날짜별, 시간별, 성별, 연령별로 데이터를 분석할 수 있어 특정 이슈가 언제, 누구에게 인기가 있었는지를 파악하는 데 유용합니다. 데이터랩에서는 하나의 키워드뿐만 아니라 두세 개의 키워드를 동시에 비교할 수 있어, 경쟁 키워드 분석에도 효과적입니다. 예를 들어 ‘추석 선물세트’와 ‘명절 선물’을 비교해보면, 사용자들이 실제 어떤 용어를 더 자주 검색하는지 알 수 있습니다. 또한, 이 플랫폼은 특정 분야별 인기 키워드도 제공하기 때문에 쇼핑, 뉴스, 건강 등 각 분야에서 어떤 키워드가 주목받는지도 확인 가능합니다. 실시간 속도는 떨어질 수 있지만, 일 단위 데이터 업데이트가 이뤄져 신뢰성 있는 트렌드 분석이 가능합니다. 마케팅, 블로그 주제 선정, 기사 작성 등 다양한 목적에 활용되며, 특히 데이터를 기반으로 한 글 작성을 원하는 사용자에게 매우 유용한 도구입니다.
구글 트렌드: 글로벌과 국내 트렌드 동시에
구글 트렌드는 전 세계 사용자의 검색 데이터를 기반으로 트렌드를 시각화해주는 무료 서비스입니다. 한국 내 트렌드도 제공하지만, 글로벌 이슈까지 확인할 수 있어 비교 분석에 유리한 점이 특징입니다. 특히 ‘지금 뜨는 검색어(Trending Searches)’ 메뉴를 이용하면 실시간에 가까운 인기 검색어를 확인할 수 있으며, 구체적인 키워드를 클릭하면 뉴스, 유튜브, 검색량 추이까지 확인 가능합니다. 또한 구글 트렌드는 지역별 검색량 차이, 키워드 간 비교, 주제별 상승 키워드 등 다양한 시각적 데이터도 제공합니다. 예를 들어 ‘아이폰’과 ‘갤럭시’를 비교하면 시기별로 어떤 브랜드에 관심이 쏠리는지 파악할 수 있습니다. 유튜브 콘텐츠 기획자나 글로벌 뉴스 트렌드에 민감한 마케터, 기자 등에게 유용하며, 특히 블로그나 유튜브를 병행하는 사용자라면 구글 트렌드는 빠질 수 없는 필수 도구입니다. 다만, 한국 내 데이터만을 원하는 사용자에게는 약간의 정제 과정이 필요할 수 있습니다. 이 경우에는 구글 트렌드에서 국가를 ‘대한민국’으로 설정하면 더욱 정밀한 분석이 가능합니다.
다음·줌·SNS로 이슈 추적하기
실검 종료 이후에도 다음(Daum)과 줌(ZUM) 등 일부 포털 사이트는 여전히 실시간 인기 검색어 또는 이슈 키워드 목록을 메인 화면에 제공하고 있습니다. 다음은 자사의 뉴스 및 카페 데이터를 기반으로 실시간 검색어를 노출하며, 특히 연예, 사회 이슈에 대한 반응을 빠르게 반영합니다. 줌은 다양한 커뮤니티와 연계되어 있어 실생활에서 갑자기 뜨는 키워드를 빠르게 포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습니다. 또한, 트위터(X), 인스타그램 등 SNS는 ‘실시간 반응’을 즉각적으로 파악할 수 있는 소스입니다. 트위터에서는 해시태그를 중심으로 어떤 이슈가 확산되고 있는지를 알 수 있으며, 인스타그램 역시 인기 해시태그를 통해 트렌드의 방향성을 감지할 수 있습니다. 이처럼 SNS와 서브 포털을 함께 활용하면 포털 기반의 공식 데이터를 보완하며 더 풍부한 트렌드 정보를 얻을 수 있습니다. 특히 SNS 기반 이슈는 기존 포털보다 더 빠르게 반응을 감지할 수 있어 콘텐츠 제작 타이밍을 앞당길 수 있는 장점이 있습니다.
네이버 실검이 사라진 이후에도 트렌드를 확인할 수 있는 방법은 다양합니다. 네이버 데이터랩은 국내 키워드 분석에, 구글 트렌드는 글로벌 이슈 파악에, 다음과 SNS는 실시간 반응 추적에 효과적입니다. 이 세 가지를 적절히 병행하면 실검 없이도 충분히 트렌드를 선점할 수 있습니다. 지금 소개한 플랫폼들을 직접 활용해보고, 나만의 트렌드 분석 루틴을 만들어보세요.
핵심 정리 표
플랫폼/도구 | 주요 기능 및 특징 | 활용 대상 | 실시간성 | 활용 팁 |
네이버 데이터랩 | - 성별/연령별/시간별 검색 데이터 분석 - 키워드 비교 가능 - 분야별 인기 키워드 제공 |
블로거, 마케터, 기사 작성자 | 낮음 (일 단위) | 키워드 선택, 콘텐츠 주제 발굴에 유리 |
구글 트렌드 | - 국내외 검색 트렌드 실시간 제공 - 키워드 비교 및 지역별 분석 - 유튜브, 뉴스 등 연동 가능 |
마케터, 유튜버, 콘텐츠 기획자 | 높음 | 시의성 있는 콘텐츠 기획, 글로벌 이슈 분석 |
다음 / 줌 포털 | - 실시간 인기 검색어 제공 - 연예, 사회 분야 이슈에 강함 |
뉴스 콘텐츠 제작자 | 중간 | 빠르게 뜨는 키워드 확인용 |
SNS (트위터, 인스타그램) | - 해시태그 기반 실시간 이슈 추적 - 사용자 반응 즉시 파악 가능 |
실시간 콘텐츠 제작자, 트렌드 분석가 | 매우 높음 | 실시간 반응 활용, 감성 키워드 포착 |